국내 분산형 임상시험 도입과 윤리적 쟁점
박신영 , 김진석 1,2 3
1 세브란스병원 임상연구관리실 임상연구보호센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인문사회의학협동과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 3 내과학교실
An In-Depth Review of Ethical Considerations on Adoption of 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in Korea
Sinyoung Park1,2, Jin Seok Kim3
1 Human Research Protection Center,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 Seoul, Kore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코로나바이러스-19 대유행과 함께 우리 사회는 비대면, 원 격, 그리고 온라인 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디지털 사회로 의 전환이 짧은 시간 안에 급속도로 일어났다. 디지털 사회로 의 빠른 발전은 의학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시대 적 요구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문화도 등장하였다. 기술결 정론을 떠올리게 하는 의료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사회적 변화 와 요구를 반영하여 그 동안에는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차이로 원활히 추진되지 못했던 주제들까지 다각적으로 시행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주로 한시적 비대면 진료,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artificial intelligence-internet of things) 기반 건강관리, 로봇을 이용한 돌봄 서비스 등 디지털 기술이 의료에 먼저 접목되기 시작하였고, 환자 진료와 병원 문화 변화에 따라 새로운 임상시험 형태도 등장하게 되었다. 새로운 임상시험은 주로 원격 모니터링, 온라인 동의, 온라인 자가설문을 포함한 형태의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 DCT)으로 대표된다. 분산형 임상시험이란 디지털 기술 및 기타 방법을 활용하여 환자가 임상연구에 접근하고, 연구자와 대상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로, DCT에 등록되는 환자는 일상적인 생활 환경에서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를 위해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이 있다.
- Keyword :
- Decentralized trial, Electronic consent, Scientific validity, Vulnerable subject
Journal of KAIRB 2025년 2월 7권1호 1 – 8